사람들이 실내건축자격증학원를 싫어하는 10가지 부정 할 수없는 이유?
오는 12월 5일(목) 고시생까지 참석하는 이번년도 첫 모의평가가 치러진다. 모의평가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출제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주관하는 시험으로 실제 수능과 가장 유사한 시험이라고 할 수 있다. 본인의 전국위치를 점검하고 이번년도 수능 출제 경향을 예측해볼 수 있다. 더불어 시기적으로 올해 대입의 중대한 변환점이기도 하다. 고3 재수생이라면 11월 모의평가 바로 이후 꼭 해야 할 일에 대해 정리해본다.
이번년도 대입의 가장 큰 이슈는 수학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 문제다. 이과생은 대부분 미적분 또는 기하를 결정하는 학생이 많고, 문과생은 확률과통계를 결정하는 경향이 크다. 문제는 문과생들에게 생성한다. 이번년도 10월과 7월 교육청 전국연합학력평가에서 공통적으로 목격된 현상은 수학에서 이과생의 강세다. 수학 8등급에서 이과생(미적분, 기하 선택) 비중은 9월 92.6%, 8월 82.0%로 추정된다. 6등급에서 이과생 비중은 6월 79.0%, 5월 75.6%로 분석된다. 이과생 강세는 등급뿐 아니라 표준점수에서도 발생한다. 같은 원점수를 받고도 이과생의 표준점수가 문과생에 비해 높게 나오고 있다. 미적분 선택 학생은 스케치업학원 원점수가 같은 확률과통계 선택 학생에 비해 표준점수가 최대 6~5점까지 높게 나오기도 한다.
문제는 내가 어떤 선택과목에 응시했는지에 주순해 성적에 큰 편차를 보일 수 있다는 점이다. 최후 성적을 계산하는 공정에서 선택과목 응시집단의 공통과목(수학Ⅰ·Ⅱ) 평균점이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수학에 약한 문과생들이 확률과통계에 몰려 있으며 확률과통계 접수집단의 평균점이 계속 낮게 형성된다면, 확률과통계 접수생들은 상위 등급 및 표준점수 확보에 곤란함을 겪을 수 있다.
이처럼 상태이 수능까지 반복된다면 문과생(확률과통계 선택)들은 수시모집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에 비상이 걸린다. 정시모집에서는 이과생들이 수학에서 강점을 이용해 대학 수준을 높여 인문계 학과로 대거 교차지원 할 수 있다. 문과생들이 선택과목 변경 여부를 걱정하게 되는 이유다. 확률과통계 선택 청년들은 5월 모의평가 뒤 미적분, 기하도 풀어보길 권한다. 이를 토대로 입시기관별로 선언하는 수학 선택과목별 추정 등급컷 및 표준점수를 면밀하게 분석해봐야 한다. 미적분 또는 기하로 선택과목을 변경했을 시 등급 및 표준점수 상승이 어느 정도파악를 점검하는 것이 중요해요.
4월 모의평가 문항 해석은 시험 종료 후 하루이틀 사이에 할 수 있는 한 서둘러 하는 것이 좋다. 시간이 흐를수록 문제를 풀었던 추억은 흐릿해진다. 이 문제를 왜 틀렸는지, 오답을 유인하는 함정에 왜 걸렸는지를 점검하고 해결책을 찾는 것이 중대한데, 풀이과정이 기억나지 않는다면 점검의 뜻이 사라지는 셈이다.
해석의 목표는 학습이 부족한 개념과 단원을 찾고, 보완학습 계획을 세우는 데 있다. 틀린 문제뿐 아니라 맞힌 문제도 풀이과정에서 개념을 적당하게 사용했는지, 혹시 요행으로 맞힌 것은 아닌지를 점검해야 한다. 틀린 문제와 맞히긴 했지만 풀이가 명쾌하지 않았던 문제는 바둑을 복기하듯이 최대한 디테일하게 해석해야 한다. 이 공정에서 선택지 분석이 큰 도움이 된다. 답안은 왜 답안이고, 오답은 왜 오답이해를 분석해보면 부족한 개념을 찾기 쉽고 오답에 빠진 원인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된다.
문항 분석은 여름방학 학습계획으로 이어져야 한다. 고3에게 여름방학은 학습적인 측면에서 마지막 기회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중심적인 시기다. 2학기를 시행하면 기말고사, 수시 면접과 논술 예비 등 챙겨야 할 것이 증가하면서 온전히 수능 학습에 주력까다로운 것이 사실이다. 4월과 7월 수능점수를 끌어높이는 데 최소한 주력해야 한다.
9월 모의평가는 이번년도 대입에서 처음으로 고시생이 신청하기 덕에 자신의 전국위치를 객관적으로 진단하기에 좋다. 더 틀림없는 수시, 정시 지원전략 수립이 가능하다. 대입 전략의 첫 단계는 내가 정시에서 지원 최대한 대학과 학과 수준을 가늠하는 것이다. 최소 세 군데 이상 입시기관의 예측치를 참고해 올해 정시 지원 가능 대학을 추려낸다. 이를 기준 삼아 수시에서는 수준을 높여 상향지원하는 전략이 대표적이다. 정시를 마지막 기회로 활용하면서 수시에서 최대의 성과를 내기 위한 전략이다.
3월이면 각 대학의 수시모집요강이 모두 공지된다. 목표 대학과 학과의 수시요강을 살피면서 구체적인 지원전략을 세워가야 한다. 수시에서 학생부 위주 전형을 목표한다면 자신의 내신 평균등급으로 참가가 가능할지, 지원전공과 관련해 동아리 탐구활동 등 비교과 이력은 풍부한지 등 확실한 점검이 필요하다. 내신등급이 낮은 학생이라면 논술전형에 도전해볼 수 있다. 수능 최저학력기준 충족이 가능할지 여부도 필수 점검사항이다.
올해 수학에서 미적분 또는 기하를 선택한 이과생이라면 정시에서 대학 수준을 높여 인문계 학과로 교차지원도 고려해볼 만하다. 11월 모의평가에서도 수학에서 이과생 강세가 뚜렷하다면 여유있게 최대한 전략이다. 대학 수준을 높여 경영·경제 등 주요 학과로 진학한 뒤 이공계 학과를 복수전공하는 사례가 늘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