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회생절차에 관한 10가지 팁

Материал из MediaWikiWelcom
Версия от 06:24, 22 февраля 2024; U9vbecm331 (обсуждение | вклад) (Новая страница: «중국 정부의 불길한 '기업부채' 폭탄 돌리기가 시행됐다. 올해 들어 중국 최대 자산관리기업인 화룽자산관리공사의 디폴…»)
(разн.) ← Предыдущая | Текущая версия (разн.) | Следующая → (разн.)
Перейти к навигации Перейти к поиску

중국 정부의 불길한 '기업부채' 폭탄 돌리기가 시행됐다.

올해 들어 중국 최대 자산관리기업인 화룽자산관리공사의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가 불거진 이후 만성질병과도 같은 중국 부채 위기를 바라보는 글로벌 시장의 더욱 개방적으로 바뀌고 있다. 시장 분석기관들은 기업 부채 위기가 이번년도 혹은 내년 중국 경제성장률을 발목 잡는 실질적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

최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021년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기업 사채 덩치가 8조1200억 달러(약 2800조원)에 이른다고 보도하며 올해 실적발표를 일곱 차례나 연기하며 부실 위험성을 키우고 있는 화룽자산케어공사를 법인회생절차 집중 거론했다. 화룽이 올해 상환해야 할 사채 규모는 12조원 이상으로 평가된다.

중국 국회가 절반 이상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국영기업인 화룽은 근래에 글로벌 신용평가기관인 피치와 무디스가 연달아 화룽의 장기 외화표시 발행자등급(IDR)을 강등하면서 중국 경제의 '회색코뿔소'(전망가능다만 준비에 소홀해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수 있는 이슈)로 부상했다.

은행권 지원에 힘입어 화룽은 근래에 만기 도래 사채 상태을 기한 내 맞췄지만 국내 기관투자자들은 화룽의 유동성 위기 사태에서 중국 국회의 대응 역량을 의심스럽게 보고 있다.

중국 기업 부채 문제는 해묵은 이슈이지만 화룽 부실 문제가 이번년도 불거진 이후 중국 정부가 선제 대응에 나서지 않으면서 '중국 국경회사는 아무리 부채가 많아도 정부의 무한 지원으로 절대 쏟아지지 않는다'라는 신화가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

전형적으로 피치는 지난달 화룽의 장기 IDR 등급을 'A에서 'BBB로 강등한 사유에 대해 노골적으로 '중국 정부의 화룽 지원 신호(indication of support )가 두드러지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등은 국내외 기관투자자들이 중국 회사의 역외 채권과 역내 채권 부실 문제와 관련해 중국 정부가 중국 역내 채권 대응에 우선순위를 두고 움직일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고 알렸다. 노골적으로 역내 부채 문제에 우선 대응할 경우 외화 발행 채권을 매입한 국내외 투자자들이 낭패를 당하게 된다.

로이터 보도의 말을 인용하면 하룽의 사채 발행 잔고는 약 53조원으로 이 중 12조1000억원이 이번년도 만기를 맞는다.

근래에 중국 은행들의 돈 지원으로 오는 11월까지 하룽이 숨통을 텄다는 보도가 나오지만 하반기 내내 하룽 리스크는 중국 경제의 암덩어리(기업부채)를 부각시킬 것으로 보인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지난 14일 보도에서 화룽 이슈를 조명하며 '이 불씨가 글로벌 마켓 전체에 충격을 줄 수 있다'고 평가했다.

홍콩 증시에 상장된 하룽자산관리공사 주식은 올해 초 유동성 위기가 불거지고 실적 발표까지 미루는 초유의 사태로 인해서 10월 말부터 현재까지 거래중지 상황다.

중국 민간업체가 아닌 국영기업조차 내재된 부실을 감추기 위해 11월 말에 접어든 그동안 시장 준칙을 어기고 실적보고서를 내지 않는 상황에 세계가 경악하고 있다.

또한 한국은행 조사국 중국경제팀은 24일 낸 '중국 기업부채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요인 점검' 분석 보고서에서 △과도한 부동산 기업 부채 △지방정부 자산담보 부채 △좀비기업(한계기업) 구조조정 지연 등을 중국 기업부채 리스크의 핵심 이슈로 꼽았다.

국내는행은 '국내총생산(GDP) 준비 기업부채 비율이 급속히 증가한 45개국 중 36개국이 발달률 둔화를 겪거나 금융위기를 맞았다'는 국제통화기금(IMF) 조사 결과를 언급하며 '중초장기적으로 회사의 과잉투자가 조정되는 공정에서 중국경제의 발달 둔화 요인으로작용할 가능성은 상존한다'고 밝혔다.

중국의 GDP준비 기업부채 비율은 작년 말 기준 166%로, 미국(82%)은 물론 120% 초반대인 한국과 일본을 크게 상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