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광진구 사마귀 : 잊고있는 11가지
우수한 병자란 의사에게 친절하거나 의사가 무조건 반기는 병자가 아니라 본인 홀로 치료를 잘 받을 수 있는 병자를 말합니다. 간혹 병이 안 나아서 오래오래 수입을 올려주는 병자가 병원에서 환영받을 거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처방가 어려운 병이라면 물론 꾸준히 조취를 받아야 하겠지만, 의사 입장에서도 자기 진단과 처방에 의해 병자의 병이 치유가 되어야 직업 만족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병자만큼이나 의사도 간절하게 환자의 질병이 치유되기를 바라게 됩니다.
이 때문에 제가 생각하는 나은 환자는 의사와 함께 '요법'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팀원이 되는 것입니다. 의사의 역할과 환자의 역할을 각자가 잘 맡아서 했을 때 프로젝트는 가장 효율적으로 진행이 되고 완성도도 높겠지요. 저러면 무슨 수로 해야 좋은 환자가 될까요?
첫째로는 병을 키우지 말고 초반에 의사를 만나야 합니다. 중국 한의학의 고전인 '황제내경'에서는 '이미 병이 된 것을 처방하는 것이 아니라 아직 병이 들기 전에 처치하는 것'을 최고의 의사라고 합니다. 한편 말하면 우수한 환자란 병이 든 다음에 열심히 처방받는 환자보다 병이 커지기 전에 미리미리 불편함을 의사와 상담하고 진단 검사를 받아서 조기에 처치하는 사람입니다.
주로의 환자들은 '이러다 낫겠지'라고 생각을 해서 초기에 병을 키우는 일이 많지요. 또 대부분인 경우에 자연적으로 호전되기도 하고요. 다만 자연적으로 호전될 것을 병원에 가서 상담을 했다고 괜한 일을 한 건 아닙니다. 의사의 치료와 치료에 의해 조금 더 빨리 호전될 수도 있고, 무엇보다 다음에 같은 증상이 또 생기지 않으려면 어떤 식으로 해야 하는지, 재발했을 경우엔 어떤 방식으로 대처해야 하는지를 정석대로 배우는 것은 큰 수확이기 때문입니다.
둘째로는 자기 증상을 엄연히 알고 병원에 가시는 겁니다. 우리는 선진국에 비해 학교에서 건강 관련 교육을 많이 받지 않아서 그런지 증상 표현에 하기 곤란함을 겪는 분들이 많습니다. 한방병원에서 진료를 하다 보면 팔도 사투리를 다 알아들어야 하고, 퀴즈처럼 환자분의 증상을 찾아내는 재미도 있습니다. 나은 의사는 서울 대상포진 병자의 말을 듣고 숨겨진 질병을 잘 찾아내는 것이 첫 번째입니다. '나팔관에 문제가 있대요'라고 말하는 40대 남자 병자의 말을 듣고도 '달팽이관'으로 잘 알아듣고 어지러움이 있는지 물어야 하고, '전립선이 있어서요'라고 말하는 70대 여자 병자의 말을 듣고도 '요실금'으로 알아듣고 질문을 해야 하는 것이 의사입니다.
그런데 이런 명확한 문제들은 오히려 어렵지 않은 예고, 거꾸로 '어깨가 아파요'라고 하는 한마디를 던지고 말을 안하는 환자는 간단하게 처치할 수 없습니다. 우리말로는 목이 끝나는 부분에서 팔이 실시되는 부분까지를 다 어깨라고 지칭하기 때문에 조금 더 확실한 진단이 있어야겠지요. 팔을 어떻게 움직일 때 어깨의 어느 부분이 아픈지, 어깨 관절 부위가 아픈지 등 위의 어깨가 아픈지, 또한 통증의 양상은 어떤지. 찌르는 것처럼 아픈지 멍든 것처럼 아픈지 혹은 전기가 오는 것처럼 아픈지 등등 여러 가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셋째로는 병의 이력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언제부터 증상이 실시되어서 어떤 식으로 변해왔고, 이에 대해서 어디서 어떤 처방를 취득했었는지, 과거에 연관된 질환을 앓았던 적은 있는지 등을 알고 있다면 최고의 병자입니다. 필요하다면 지금까지 약 복용 기록이나 음식 섭취 기록, 배변이나 수면시간 혹은 통증 발발 기록 등을 가지고 가보세요. 병원에서 VIP(귀빈)를 넘어 동료 의사 대접을 받으실지도 모릅니다. 제가 진료 중에 가장 많이 하는 정답 맞추기 중의 하나가 바로 병력인데요.
6개월에서 1년 사이 그 언젠가부터 시행되었다는 것은 처방에 매우 중요한 정보입니다. 결국 알아내기는 했지만, 대략적으로 '몇 달 됐어요'라고만 하셨어도 상담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었겠죠. 병원에 가시면 대략적으로라도 얼마나 되었는지 꼭 이해하고 말씀해 주세요.
넷째로 처음 병원에 가실 때는 가족과 함께 가시는 게 좋습니다. 의외로 본인의 상태나 생활 패턴에 대해 스스로는 잘 모를 경우가 많거든요. 어머님과 함께 가거나 부부가 같이 가시는 게 가장 우수한데, 자신은 소화가 잘 된다고 말그러나 옆에 앉은 부인이 '잘 되긴 뭐가 잘 돼, 밖에서만 먹으면 허구 헌 날 속 불편하다고 활명수 찾으면서'라고 훌륭한 도움을 주실 경우가 아주 많거든요. 반대로 의사의 조언을 들은 것도 지인이 같이 기억을 해주시면 훨씬 좋지요. 일상에서 무언가 달라져야 한다면 일상을 함께 하는 보호자의 도움이 필수적이니까요.
다섯째는 너무나 당연한 얘기지만, 의사의 치료과 권고를 꼭 지키세요. 학교에 다니기만 하고 테스트를 안하면 성적이 오를 리가 없듯이, 병원에 다니기만 하고 약도 안 먹고 운동도 안하면 병이 나을 리가 없겠지요. 처음에 전했듯이 치료는 환자와 의사의 팀 프로젝트입니다. 의사가 진단과 시술, 처방은 해줄 수 있어도 약을 먹여주고 운동을 시켜줄 수는 없으니까 이것은 환자의 몫이 되고, 조취라는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는 저기에 달려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