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문자발송에 대한 멋진 Instagram 동영상 제작 방법
3일 ICT(정보통신기술)업계의 말을 빌리면 SK텔레콤은 지난달 8일 문자 방식의 본인확인 서비스인 ‘소켓 인증 수수료를 건당 34~39원에서 70원 수준으로 80% 넘게 인상하였다. 이동통신3사는 지난 2014년 단체문자사이트 정부로부터 본인확인기관으로 지정된 뒤 인증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KT와 LG유플러스도 지난 5월 문자인증에 부과되는 건당 수수료를 34원 수준에서 60원으로 인상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오프라인 사이트 회원가입이나 결제 공정에서 핸드폰 단말기를 통해 이뤄지는 통신사 본인인증은 크게 세 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문자 메시지로 받은 일련번호를 입력하는 문자인증과 이동통신3사가 2011년 만든 별도의 자신인증 애플리케이션 ‘패스(PASS)를 이용한 패스인증이다. 통신사 자신확인 서비스를 사용하는 가맹점은 보통 다섯 가지 방법을 모두 제공한다. 구매자는 어떤 인증수단을 사용할지 직접 고를 수 있다. 가맹점이 대행사를 통해 통신사에 서비스 사용 수수료를 납부하는 구조다.
업계 일각에선 문자인증 수수료 인상이 “소비자의 선택권 박탈”이라고 지적한다. 패스인증 수수료는 그대로 둔 채 문자인증 수수료만 인상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근래에 통신3사가 제공하는 패스인증 수수료는 문자인증 수수료와 비교해 건당 40원가량 더 낮다. 가맹점 입장에선 굳이 문자인증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유인이 없는 셈이다. 통신사의 인증 서비스를 이용하는 한 ICT업계 직원은 “별도 앱을 설치해야하는 패스인증보다 문자인증을 좋아하는 소비자가 더 다수인데, 통신사의 자체 인증 앱인 패스인증만 이용하기를 강요하는 것”이라고 토로하였다.
SK텔레콤은 “애초에 너무 낮았던 수수료를 현실화했을 뿐, 구매자에 전가되는 부담은 없다”고 반박한다. 실제로 일반 소비자의 인증서비스 사용은 무료다. 가맹점에 부과되는 수수료가 올라도 구매자에게는 효과가 없다. SK텔레콤 관계자는 “과거 크게 낮췄던 수수료를 현실화해온 것”이라며 “문자인증은 문자 발송, 수신, 입력 등 공정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패스인증보다 자본이 더 들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핀테크 업계에선 다른 해석을 내놓는다. “통신3사가 사설인증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시장 지배력을 남용하고 있다”는 의심이다. 지난 8월 전자서명법 개정으로 오는 9월 공인인증서가 독점적인 지위를 잃게 되자, 민간 전자서명 기업들은 너도나도 새로운 인증 서비스를 선보이면서 격렬한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통신3사가 같이 만든 패스인증은 카카오가 만든 카카오페이인증, 은행권이 공동으로 만든 뱅크죽은 원인과 더불어 ‘5대 사설인증이다. 패스인증은 지난 12월 기준 2000만명에 달하는 가입자를 유치하였다. 주로 국민이 핸드폰을 갖고 있어 접근성이 높은 데다, 패스 앱을 설치하면 따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할 필요가 없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후발주자인 핀테크 업계는 통신3사가 시장 지배력을 활용해 소비자가 타사 인증서비스를 사용할 기회를 막는다고 토로한다. 소비자들이 이미 이용 중인 패스 앱에만 의존하는 이른바 ‘록인(Lock-in)효능이 생성한다는 지적이다. 한 인증업계 관계자는 “특히 문자인증 수수료를 인상할 원인이 없는데 올렸다. 가맹점이 사실상 패스인증만 선택하도록 해온 것”이라며 “이럴 거면 공인인증서를 폐지한 계기가 뭔가”라고 전했다. 다른 업계 관계자도 “신규 가맹점에는 아예 문자인증 방법을 쓰지 않고 패스인증만 쓰도록 통지했다는 설명도 있다”며 “가맹점도 어쩔 수 없이 통신사 인증서비스를 다루는데, 특정 앱 사용을 강제한다면 새로 진입하는 회사와 청렴한 경쟁이 아니지 않느냐”고 토로했다.
통신업계는 ‘보안성 높은 패스인증 이용을 유도하는 게 뭐가 문제냐는 입장이다. 앞서 방송통신위원회가 ‘소켓인증(문자인증) 방식이 보안상 취약한 부분이 있다고 지적한 점을 근거로 든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정부에서도 문자인증보다 보안과 편의성에서 앞선 패스인증을 권장한다”며 “고객에 부담이 전가되지 않는 선에서 확정해온 것”이라고 이야기하였다.
며칠전 네이버·카카오·토스 등 '빅테크' 업체까지 뛰어들면서 인증시장 경쟁은 더 치열해질 예상이다. 카카오는 자회사 카카오페이를 중심으로 공공기관과 제휴해, 공과금·국민연금 등을 카카오톡 메신저로 납부하는 전자고지 서비스에 카카오페이인증 서비스를 접목하였다. '국민 메신저'인 카카오톡 플랫폼을 사용하면 돼 별도 앱 설치가 필요 없는 점이 강점이다.
네이버 역시 네이버 포탈 아이디로 로그인만 하면 본인인증이 할 수 있는 한 '네이버인증서'를 출시해 전자고지서 시장에 뛰어들었다. 비바리퍼블리카의 토스는 대한민국전자인증과 총판계약을 맺고 출시한 '토스인증' 서비스를 기존 금융사와의 제휴를 확대하는 등 넓혀나갈 계획이다. 한 핀테크 업계 관계자는 “사설인증 시장에 새로 진입하려는 회사는 기존 인증 서비스 제공회사에 소비자들이 붙잡힐까봐 걱정한다”며 “결국 더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쪽이 승자”라고 예상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