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후 비달리스타는 어떤 모습일까요?
국내 발기부전치료제 시장에서 국내 제약기업들이 두드러진 성과를 내고 있다. 특출나게 이목할만한 것은 한미약품과 종근당이 오리지널 발기부전치료제인 비아그라와 시알리스를 한참 앞서고 있다는 점이다.
의약품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의 말을 빌리면 전년 주요 발기부전치료제 의약품의 지난해 대비 매출액은 대부분 감소했다. 특출나게 오리지널 발기부전치료제들의 수입이 급감한 것이 눈에 띈다. 반면 국내 제약사들의 복제의약품(제네릭)들의 경우 지난해 대비 수입액이 증가하거나 감낮은 폭으로이 작았다.
전년 발기부전치료제 시장 매출액 1위는 실데나필 성분의 한미약품 ‘팔팔이 차지했다. 작년 대비 매출액이 5.4% 가량 감소했지만 유일하게 매출액 500억 원을 넘어서며 명실상부한 1위 자리를 지켰다. 오리지널 의약품인 ‘비아그라는 수입이 12.6% 감소한 87억 원으로 3위에 그쳤다. 매출 60억 원 이상을 기록한 상위 발기부전치료제 중 실데나필 성분은 팔팔과 비아그라뿐이었다.
이밖에 상위 품목들은 ‘시알리스의 타다라필 성분 품목들과 국내 개발 신약들이 차지했다. 시알리스 계열로는 종근당의 ‘센돔이 작년 대비 1.4% 감소한 106억 원으로 전체 발기부전치료제 품목 중 2위에 올랐다. 한미약품의 ‘구구는 73억 원으로 작년 보다 12.2% 불어나며 ‘센돔을 바짝 직후쫓고 있다.
오리지널 품목인 한국릴리의 ‘시알리스는 지난해 대비 4.4% 감소한 66억 원으로 5위에 그쳤다. 한미약품과 종근당에 이어 대웅제약과 한국콜마까지 매출 격차를 점차 좁혀오고 있어 입지가 위태롭다. 대웅제약의 ‘타오르는 41억 원, 한국콜마의 ‘카마라필은 39억 원으로 각각 8위와 9위에 증가했다.
또 국내 제약기업들이 자체 개발한 발기부전치료제도 상위권에 포진하며 저력을 보여주고 있다. 전체 발기부전치료제 시장 6위에 오른 동아에스티의 자이데나(성분명 유데나필)은 전년 54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국산 신약 10호로 허가 받은 ‘자이데나는 며칠전 혈관성 치매 적응증을 목표로 공부를 진행 중이다. SK케미칼이 개발한 ‘엠빅스S는 자체 개발한 ‘엠빅스(성분명 에프페시아 미로데나필) 정제를 구강용해 필름 제형으로 개선어떤 제품으로 53억 원, 7위를 기록했다.
요법이 필요한 전문의사약품 시장에서 제네릭이 오리지널 의약품 수입을 능가하는 일은 매우 드물다. 항암제나 만성질병 치료제만 해도 제네릭이 오리지널 의약품 매출에 한참 직후처진다. 이는 같은 성분과 효능일지라도 오리지널 의약품에 대한 의료진과 환자들의 신뢰도와 충성도가 높기 때문이다. 반면 국내 제약기업들이 오리지널 발기부전치료제를 넘어설 수 있었던 배경에는 마케팅과 가격 경쟁력이 주 요인으로 꼽힌다.
업계 관계자는 “발기부전치료제는 오리지널 대비 제네릭 가격이 훨씬 저렴하고 부작용 염려가 적어 제네릭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며 “또 국내 제약기업들의 나은 영업‧마케팅 자신만의 지식와 전략에 오리지널 의약품이 밀려난 것”이라고 분석했다.